“'1타 강사' 때문에 피 같은 수능 문제 1개를 틀렸습니다”

“'1타 강사' 때문에 피 같은 수능 문제 1개를 틀렸습니다”

놀러와 0 2290
  • • `빼박 증거`까지 박제된 상황
  • • 수능 국어 25번 문제 해석 논란
1921080835_cHypjeno_bdc56d9da8799de8a5caeefb6cf0b6adbf29003e.jpg

수능시험을 마친 성광여고 학생이 엄마 품에 안겨 울고 있다. (수능날 당일 풍경을 담은 사진으로, 기사와는 관련 없습니다) / 뉴스1


수능 국어 25번 문제에 논란이 거세다. 


지난 14일 끝난 수능 국어시험 25번은 고전 시가 '월선헌십육경가(신계영)' 중 "강호 어조(魚鳥)애 새 맹셰 깁퍼시니 옥당금마(玉堂金馬)의 몽혼(夢魂)이 섯긔엿다"라는 구절을 가장 적절하게 해석한 것을 고르는 문제다. 답은 1번(홀수형 기준)으로 "'강호'에서의 은거를 긍정하지만 정치 현실에 미련이 있음'으로 해석하는 것이다. 


1921080835_Zyl7Ss3M_06219cf49a3b67619b95d1058374173a6bebff7f.jpg

이하 수능 국어시험 25번 지문과 문제


1921080835_wYToE6mM_f84b9b5cff64001268def75fef389b4c45663ecb.jpg


한국교육과정평가원 수능 이의신청 게시판에는 해당 문제에 이의신청이 가장 많이 접수됐다. 더 큰 논란은 한 국어 강사와 관련돼 불거졌다. 이 강사는 국어 영역 '1타 강사'로 유명하다.


오르비 등 수험생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"강사 A 씨가 수능 전 강의에서 수능 25번 문제와 같은 지문을 가르치면서 해당 구절을 '벼슬살이에 대한 생각이 희미해짐'이라고 해석했다"라는 말이 파다하다. "강사 믿었다가 1문제 날렸다. 억울하다"라는 반응이 넘쳐난다. 


실제로 강사 A 씨는 강의 내용에 의문을 제기하는 학생에게 "(해당 구절은) 벼슬살이에 미련이 있다기보다는 이에 대한 생각이 없어졌다고 이해하면 된다"라고 답변했다.


1921080835_7JGWTeja_9d29a7a0f11bc15f0c6acc5e6bdecad7a26a4ee3.jpg

오르비 캡처


일부 수험생들은 "강사 해석도 완전히 틀린 건 아니다. 애초부터 수능 문제가 애매하게 출제됐다"라는 주장도 있다. 반면 "다양하게 해석될 소지가 있다는 말을 (강사가) 해줬어야 하는 거 아니냐"라는 반발도 있다. 




출처 : https://www.wikitree.co.kr/main/news_view.phpid=481965

0 Comments
사이트주소